단번에 사로잡는 매력은 덜할지 모른다. 지나쳤다가 생각나서 돌아가 그 앞에 다시 서게 되면 비로소 더 머물고 싶어진다. 고요하지만 적막하지는 않다. 그의 작품에는 뭔가가 있다.
첫 개인전이라는 게 믿기지 않을 만큼 작품 수준이 수려하다. 젊어서부터 순수미술에 대한 열망을 지녀온 공영자는 직장을 다니면서도 틈틈이 수채화를 그리곤 했는데, 노년에 시작한 유화는 그의 작품세계에 깊이를 더해주었다.
공영자의 그림은 온화하고 정직한 태도로 타인을 대하는 화가 자신과 닮았다. 그의 작품은 색채가 강하지도 화려하지도 않다. 그림을 그릴 때 찰나의 느낌에 매달리지 않아서다. 모과의 울퉁불퉁함, 레이스의 무늬, 그릇의 문양까지, 디테일을 살린 세밀함에서 화가가 대상을 대하는 태도를 엿볼 수 있다. 공영자는 보이지 않는 것을 “있을” 거라고 여기지 않는다. 시간을 들여 대상을 관찰하면서 대상이 보여주는 것을 캔버스에 옮긴다. 너무 밝은 탓에 희미하거나 빛이 닿지 않아 어두운 부분은 상세하게 묘사하지 않는 대신 부드러운 터치로 색을 다양하게 더한다. 그렇기에 그의 그림은 섬세하지만 난잡하지 않다. 비뚤어진 건 비뚤어진 대로, 찌그러진 건 찌그러진 대로, 공영자는 자신이 보는 그대로를 화폭에 담고자 한다.
그래서일까? 풍경이든 인물이든 공영자의 작품을 감상하다 보면 화가가 그리는 동안 옆에서 함께 바라보고 있는 듯이 느껴진다. 잔잔한 풍경을 보며 마음이 차분해진다. 다리의 각도나 손의 길이나 조금만 이상해도 인물화는 어그러져 보이기 마련이다. 의사로서의 오랜 경험이 토대가 되었을까. 공영자의 인물화에서는 모델의 자세가 휴식이라도 취하는 듯 안정적이다. 보는 이도 덩달아 잡념을 떨쳐내고 평온함을 얻는다. 마치 인간 공영자와 마주하고 있는 기분이다.
-박지니 <한국산문> 2025년 3월호에서-
초대의 말
공영자님의 첫 번째 개인전을 축하합니다.
공영자님은 의사를 평생 직업으로 정년퇴직을 하고,
유년 시절의 꿈을 따라 수채화 작업을 했습니다.
그 후 김호걸미술아카데미에서 유화, 소묘 공부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순수미술의 세계에 입문했습니다.
이번 전시는 공영자님의 작품이 무르익기 시작한 2020-2025년 사이에 제작된
정물화, 인물화, 풍경화 등 유화 작품 25점을 조명해 보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공영자님의 작품은 온화한 작가의 성품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작품의 표현방식에 있어서 정직하고 고지식한 반듯함이 녹아 있고,
과장이 없는 편안함과 안정감을 갖춘 구도가 특징인 반면에
화가가 추구하는 개성이 강한 독특한 메시지가 있어 보는 이들을
그림 앞에 잡아 두고 조금 더 머물러 있게 하는 매력이 있습니다.
순수하고 진솔한 마음으로 그림 그리기를 즐기고, 자연을 진지하게 탐구하는
작가 공영자님의 첫 번째 개인전을 진심으로 다시 한번 축하하고
많은 분들의 격려와 관심을 기대해 봅니다.
-갤러리藍 대표-